백자철화승문병(白磁鐵畵繩文甁,보물제1060호) 백자철화승문병(白磁鐵畵繩文甁,부물제1060호) 보물 제 1060호 국보지젇일 / 1991.01,25 시대 / 조선(15-17세기경) 입수 / 1995 서재석 기중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 높이31.4cmx입지름 7cmx밑지름110.6cm 1991년 1월 25일 보물 제106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전시하고 있다.. 국가보물(國寶·寶物) 2013.01.03
경천사 십층석탑(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경천사 십층석탑(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국보 제 86 호 국보지정일 / 1962.12.20 시대 / 고려 1348년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 높이 13.5m 고려시대에 창건된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절터에 세워졌던 높이 13.5m 십층 석탑이다. 이탑은 1907년에 일본의 궁내대..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12.28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粉靑沙器 剝地鐵彩牡丹文 扁甁)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粉靑沙器 剝地鐵彩牡丹文 扁甁) 국보 제 260호 국보지젇일 / 1991.01.25 시대 / 조선시대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 높이 9.4cmx입지름 4cm 지름24.1cm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은1991년 01월 25일 국보 제1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12.25
청자철화양류문통형 병(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청자철화양류문통형 병(靑磁 鐵畵楊柳文 筒形 甁) 국보 제 113호 국보지젇일 / 1962.12,20 시대 / 고려12세기경 입수 / 1931 소재지 / 국립중앙박물관 크기 / 31.6cmx입지름 5.5cm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 전시하고 있다. 12세기졍 만들어진 것으로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12.22
낙상사 7층석탑(보물제499호) 낙상사 7층석탑(보물제499호) 삼척에서 동해 추암촛대바위 -정동진 모래시계- 화조대를 거쳐 낙산사7층석탑을 찾아 들러 보았다.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에 있는 보물 제499호인 낙산사 7층석탑은 높이 6.2m로서 낙산사 원통보전 앞에 서 있다 창건당시 삼층이던 이 탑은 조선 세조13년(..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9.05
창경궁 팔각칠층석탑(昌慶宮內 八角七層石塔) 창경궁내 8각7층석탑(昌慶宮內 八角七層石塔) 서울 종로구 와룡동 2-71 창경궁내에 있는 중국식 석탑이며 높이는 6.5m 보물 제1119호 탑은 조선 성종 원년(1471)에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 창경궁에 이왕가 박물관을 건립할 때 상인에게 구입 세운것이다. 석탑의 기단..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5.05
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三陽洞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제127호) 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三陽洞金銅觀音菩薩立像 국보제127호) 1967년 서울 도봉구 삼양동에서 발견된 높이20.7cm의 보살상으로 현제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하고 있다. 머리에는 삼각형의 관을 쓰고 있고 얼굴은 원만해 보이며 입가에는 엷은 미소를 짓고 있다. 발목 위부분이 금이 가고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4.15
동궐도이야기(東闕圖,국보제249호) 동궐도 이야기(東闕圖국보 제249호) 동궐도는 경복궁 동쪽에 있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인데 동궐도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 2점의 그림을 말한다. 동궐도는 가로 576cm 세로273cm로 16첩으로 되어있는 병풍을 말하는데 오른쪽에 산과 언덕이 마주한 두 궁의 모습을 거린것이다 .. 보물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3.17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국보제287호)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국보제287호) 부여 능산리 출토백제금동대향로는 1996년 5월30일 국보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점의 유물과 같이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1.8cm 무게 11.8kg 인 대형 향로로 몸체와 뚜껑이 구..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3.07
신들의영역 종묘영녕전(보물 제821호) 종묘영녕전(永寧殿보물제821호) 왕실신주를 모신 별묘로1421년(세종3)에 정종의 신주를정전에 모시며정전의 신실이 부족하자 정전에 모시고 있던 신주를 다른 곳에 옮겨 모시기 위한 별묘로 왕실의 조상과 자손이 함께 길이 평안하랴, 뜻을 담고 있따. 신주를 정전에서 옮겨 왔다는 뜻에서..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