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서문 석등(보물제364호) 나주 서문 석등(보물제364호) 높이 3.27m 간석 높이 0.83m 지대석너비1.44m인 나주 석문 석등은 1963년 1월21일 보물 제364호지정되어 있다 전남 나주읍 서문 안에 있던것을 192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놓은 것이고,현재 용산국립박물관에 옮겨져 야외 전시하고 있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서석을..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3.02
조선왕실의사당,종묘정전 (국보제227호) 조선왕실의사당,종묘정전(국보제227호) 주말 화창하지만 매우 바람불고 쌀쌀한 날씨에 서울시 종로구 훈정동2-1에 있는종묘 정전을 찾았다 정전은 국보 제227호인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적의 사당이다. 종묘는 조선조 임금의 신위를 모신 사당으로 정..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27
조선시대 영빈관경복궁경회루( 慶會樓,국보제224호) 조선시대 영빈관 경복궁경회루(慶會樓,국보제224호) 경북궁가는길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1 경북궁내 있으며1985년1월8일 국보 제224호로 지정되어있다. 경회루는 경북궁 근정전 부근에 위치한 연못 안에 세운 건축물이며 나라에 경사나 외국 사신이 왔을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태종12년(..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24
물가풍경무늬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국보제92호) 물가풍경무늬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국보제92호) 정병은 부처님 앞에 물을 담아 놓은 병이이다. 버드나무 물오리 노젖는 어부가 어우러진 물가풍경은 고려인의 높은 정신세계를 표현하였다. 묘면에 홈을 파고 은선을 박아 넣는 은입사 기법으로 물가 풍경을 묘사하였다...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22
왕에게 가다 근정전(국보제223호,景福宮 勤政殿) 왕에게 가다 경복궁근정전(국보제 223호,景福宮 勤政殿) 현존하는 건축물 중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건물이며 국보 제 223호 이다. 정전으로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 하는 곳이다. 태조4년 (1395)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려 고종4년(1867)에 대원군이 다시 지..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13
유리병/잔(琉璃甁/盞 국보제193호) 유리병/잔(琉璃甁/盞 국보제193호) 국보제 193호인 유리병과 잔은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경주 황남동 미추왕릉 지구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무덤인 황남대총에서 나온병과잔3점 1978년 12월 7일 국보 제193호로 지정된 유리병은 높이 25cm 배지름 9.5cm 이며 음료 병으로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04
신라의 금목걸이(보물 제456호) 경주 노서동 금목걸이(慶州 路西洞 金製頸飾(보물제456호) 경주 노서동 215호 고분에서 발견된 신라의 금목걸이 이며 국립 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작은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215고분에서 출토된 금목걸이(慶州 路西洞 金製頸飾)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215고분에서 출토된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2.02
창경궁관천대(보물 제851호)觀天臺 창경궁관천대(觀天臺,보물제851호) 창경궁 관천대(觀天臺)는서울시 종로구 와룡동2-1에 위치한다 창경궁에 있는 이 관천대는 1688년(숙종4)에 만들어진 것이며 높이 2.2m의 화감암대를 쌓고 웟부분에 가로 2.4cm 세로 2.3cm 소간을 세울 대를 두었다. 옛날 관원들은 이 관천대에서 천지에..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1.30
청자소문과형병(靑瓷素文瓜形 국보 제94호) 청자소문과형병(靑瓷素文瓜形국보제94호) 청자소문과형병(靑瓷素文瓜形)은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6가168-6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청자소문과형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 94호로 지정된 높이 22.8cm 아가리 8.8 cm 밑지름 8.8cm 이다. 경기도 장단군에 있는 고려 인종의 릉에..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1.25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국보 제60호) 청자사자유개향로(靑磁獅子유蓋香爐(국보 제60호) 청자 전성기고려 12세기)인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 1.21.2cm 지름16.3cm 인 청자향로 이다. 비취색의 청자가 최고로 자리매김하던 12세기 전반기에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보고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는데, 상형문자 에는 .. 국가보물(國寶·寶物) 2012.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