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전,창덕궁,덕수궁 닫집 경복궁 근정전,창덕궁,덕수궁 닫집 닫집은 본래 존귀하고 신성한 분과 그 형상에 먼지,비바람,태양빛 등이 직접닫지않게 하기 위하거나 신성하고 위엄스럽게 보일 목적으로 건물 안에 설치한 작은 건물이다.당가,운궁,보개천장이라고도 하였다 한다. 왕궁의정전 (즉위나책봉 등 가장 중.. 文化遺産(遺物·遺蹟) 2013.01.17
창경궁정문 홍화문 이야기 창경궁의정문 홍화문 이야기 창경궁 종로 쪽으로 뻐스를 타고가다 보면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륭동 2-1)에 위치한 창경궁로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보인다. 창경궁은 1483년(성종14)년 수강궁을 중건하여 1910(융희 4)년에 지금의 창경궁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부 전각들을 ..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11.24
역사가 숨쉬는곳 창덕궁 낙선재 역사가 숨쉬는곳 창덕궁 낙선재(昌德宮樂善齋) 창덕궁내에 있는 낙선재는 정면 6칸 측변 2칸의 단층 팔작 기와지붕에 누 마루가 있는 17칸 반의 규모이다. 장대석 위에 초석을 놓고 기둥을 세웠는데 모기둥이며 기둥 머리에 대들보를 걸었으며 익공을 끼웠다. 누 마루 밑에는 아궁이를 내..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03.21
역사가 있는곳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 行宮)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行宮, 사적 제480호)역사탐방 사적 제480호로 지정된 남한산성행궁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935-86번지 일대 행궁지는 산성호텔 뒷편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데 건물은 없어지고 터만 남아 있었는데 건물터는 삼중하 3단으로 구분한다. 삼단은 상궐터,중단과..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03.13
세계문화유산 종묘(宗廟,사적 제125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종묘(宗廟,사적 제125호) 조선왕실의 사당인 종묘는 1995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제 되어 있으며 사적 제124호이다.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국가 최고의 사당이다. 종묘는 1395년 조선의 태조가 한양을 새나라 도읍으로 정한 ..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03.10
역사탐방(경북궁 건청궁,각문각지) 경북궁 건청궁과 각문각지 경복궁 중건사업이 끝난 다음해인 1873년, 고종은 경복궁 북쪽 동산정원인 녹산과 향원정 사이에 건청궁을 건립케 하고 명성황후와 기거 하였다. 건청궁의 건축양식은 궁궐의 침전양식과는 달리 양반가옥 살림집을 응용하여 사랑체(장안당)안체(곤녕함)..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02.03
역사탐방(창경궁) 고적을 찾아서(창경궁) 창경궁은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2-1 위치하고 있다 성종 15년(1484)에 수강궁 자리에 별궁인 창경궁을 건립 했는데 임진왜란 화재로 소실된 것을 광해군 8년(1616)에 다시 세웠다. 이 때 동향으로 세워졌던 명전전을 남향으로 고쳐야 한다는 김일손의 상소가 있.. 文化遺産(遺物·遺蹟) 2012.01.28
주택의변천사 주택의 변천사 동굴에 처음나오서 집짓기시작 사람이 땅에 살기시작한것은 구석기시대이고 인간이 만든 집이라 부를수 있는 구조물은 신석기시대이다. 이때 만들어진 집은 땅을 파낸 뒤 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지붕의 틀을 만든 다음 풀로 지붕을 덮었는데 움집이라 부른다. 청동.. 文化遺産(遺物·遺蹟) 2011.11.16
양동마을두곡고택 이야기 양동마을두곡고택 중요민속마을로 지정된 양동마을내 두곡고택은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94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양반마을로 1984년12월24일 월성양동마을이란 명칭으로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된 민속마을이다. 영조9년 (1733)회재 이언적 대손 이식중의 (分門家)로 세워졌으며 그.. 文化遺産(遺物·遺蹟) 2011.03.04
흥인지문 흥인지문(보물 제1호)동대문 서울 종로구 종로 6가 69번지인 동대문 4거리 지하철동대문역 근처에 있다 흥인지문은 1398년(태조7)에 세운 서울도성의 동쪽문이며 지금의 문은1869년(고종6)에 다시 지은 것이다. 서울의 성문가운데 문루를 2층으로 만든 것은 숭례문과 흥인지문 밖에 없다. 불타 복원중인 숭.. 文化遺産(遺物·遺蹟) 201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