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文化遺産(遺物·遺蹟) 112

[경북궁5]가을과 겨울에 비친 단종애사가 있는 경북궁 경회루

가을과 겨울에 비친 단종애사가 있는 경북궁 경회루 경북궁가는길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1 경북궁내 있으며 1985년1월8일 국보 제224호로 지정되었다. 경회루는 경북궁 근정전 부근에 위치한 연못 안에 세운 건축물이며 나라에 경사나 외국 사신이 왔을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조선의 ..

경북궁집옥재,신무문,청와대일원

경복궁 집옥재,신무문과청와대일원武門)과청와대 집옥재 1876년 경보궁에 큰 불이나자 고종은 창덕궁으로 옮겼다가 1888년 경복궁 들어와 건청궁에서 기거한다. 창덕궁에 있던 집옥재를 협길당과 함께 1891년 건청궁에 옮겨와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 장소로 사용한다. 집옥재는 양 옆면을 벽돌로 쌓고 내부를 중2층으로 만들었으며 ,팔우정은 팔각형의 2층 정자이다. 중국풍이 많이 섞여있고 복도를 통해 하나의 내부를 연결 되어 있으며 궐내에서도 이국적인 권역이다. 집옥재 집옥재의 중심건물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담넘어 신무문 팔우정에서 바라본 신무문 신무문 북쪽궁성이 세종 15년 궁성의 북문으로 만들어진 다음 해인 1433년 처음 세워진 경복궁 북쪽의 문이다.신무문이라고 부르게 된것은 성종 6년(1475)인데 이때만 ..

덕수궁 광명문에있는 보루각자격루(報漏閣自擊漏)와흥천사명동종(興天寺銘 銅鐘)

덕수궁광명문에 있는 보루각자격루(報漏閣自擊漏) 국보제229호 덕수궁 광명문에 있는 국보제228호인보루각자격루(報漏閣自擊漏) 는 대파수호1개 소파수호 2개 수수호2개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동제 대파수호는 지름 93.5cm,높이 70cm이고 도자기로 만든 소파수호 2개는 최대 지름46cccm&#454..

을미사변이 일어난곳 경북궁건청궁과향원정

경북궁건청궁과향원정 건청궁 고종 내외가 아버지인 홍선대원군의 간섭에서 정치적으로 자립하기 위해 1873년 건청궁을 궁궐 안 북쪽에 별도로 조성했다. 궁안에 궁인 건청궁은 침전인 곤녕합,옥호루와왕의사랑채인 장안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곤녕합은 1895년 을미사변 때 명성황후가 시해된 역사적 비극의 장소이다. 건청궁일원 건청궁; 초양문;장안당과 곤녕합사이의 문 함광문;곤영합과남쪽 행각사이문 장안당전경 장안당은 고종의 일상및침전이다 추수부용루 추수부용루;가을 물속연꽃을 가르킨다. 필성문;건청궁 남쪽문 사시향루;사시사철 향이나는 누각이라는 뜻을담고있다. 초양문에서 바라본 장안당과 필성문이 보인다 정시각;곤녕합 북쪽에있는 침방 녹금당;복수당 서행각에있는 건물 복수당 복수당과행각;수라간및 상궁들의 공간 곤녕합; ..

역사탐방(고종황제의 혼이 살아있는덕수궁 德壽宮)둘러보기

고종황제의 혼이 숨쉬는 덕수궁(德壽宮) 둘러보기 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며 1907년 고종이 순종에게 양위를 한 뒤 이곳에서 살면서 덕수궁이라 불렀다. 정동에 있는 경운궁은 고종 황제의 장수를 빈다는 뜻으로 덕수궁으로 고쳐 부른다. 덕수궁 자리는 세조의 큰아들인 도..

이승만대통령이 낚시하던 하향정은 경회루 서북쪽 호수가에 있다

이승만 대통령이 휴식과낙시하던 경회루 호수가에 있는 하향전 경회루는 조선시대의 영빈관으로 사용되었으며 국보 제 224호로 지정되어 있는 아주 홀륭한 조선시대의 건물이다 경회루는 경북궁 근정전 부근에 위치한 연못 안에 세운 건축물이며 나라에 경사나 외국 사신이 왔을때 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