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전,창덕궁,덕수궁 닫집
닫집은 본래 존귀하고 신성한 분과 그 형상에 먼지,비바람,태양빛 등이 직접닫지않게 하기 위하거나 신성하고 위엄스럽게 보일 목적으로
건물 안에 설치한 작은 건물이다.당가,운궁,보개천장이라고도 하였다 한다.
왕궁의정전 (즉위나책봉 등 가장 중요한 행사를 거행건물)왕실의사당,사찰 법당의 닫집은 더욱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
현 서울 경복궁의 근정전,창덕궁의명전전,덕수궁의중화전 등 조선 왕궁의 정전에는 크고 화려한 닫집이 전하고 있다.
이 닫집 모형은 조선의 경궁(가장크고 위뜸인궁)인 경복궁 근정의 닫집을 65%축소한 모형이다.
경복궁 근정전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왕궁의 닫집 중앙에는 어좌,용상,옥좌라고 하는 왕이 앉는 의자가 있다..
경복궁 근정전 닫집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덕수궁 중화전
덕수궁 중화전의 닫집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왕의등극
왕의자리에 오른것을 등극.즉위라고 불렀다.
창덕궁 인정전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어좌 아래 죽 닫집의 기단은 탑 또는 어탑이라고 불렀다.
창덕궁 인정전 닫집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이 닫집 모형은 조선의 경궁(가장크고 으뜸인 궁)인 경복궁 근정전의 닫집을 65%축소한 모형이다.
어좌의 뒤에 설치된 병풍은 다섯 봉우리의산과바다,태양,달 등을 그린 그림으로 이름을 일월오봉도 또는일월오약도라고 불렀다.
닫집의 천장에는왕을 상징하는 용 두마리를 여의주 구름 문양과 함께 그려 놓았다.
닫집의 천장에는왕을 상징하는 용 두마리를 여의주 구름 문양과 함께 그려 놓았다.
어좌의 뒤에 설치된 병풍은 다섯 봉우리의산과바다,태양,달 등을 그린 그림으로 이름을 일월오봉도 또는일월오약도라고 불렀다.
어좌 아래 죽 닫집의 기단은 탑 또는 어탑이라고 불렀다.
궁중음악에 쓰이는 악기 편경
석부에 속하는 타악기의 하나로 16개의 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의모양은 모두 같고 두께에 따라 음의높낮이가 정해진다.
문묘제레악,궁중의의식이나 연회에 연주되는 전통음악인 아악에 사용 되었다
고려 예종11년 송나라 아악이 들어올 때 편종과 함께 도입되어 조선 세종 7년)1425) 박연이 중심이 되어 조선에 맞게 개량되었다.
습도나 온도의 변화에도 음색과음정이 변하지 않아 국악기조율의 기준이 되었다고 한다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역사여행2 (경복궁흥례문) (0) | 2013.02.07 |
---|---|
민족의 자존심 광화문의역사 이야기 (0) | 2013.02.02 |
창경궁정문 홍화문 이야기 (0) | 2012.11.24 |
역사가 숨쉬는곳 창덕궁 낙선재 (0) | 2012.03.21 |
역사가 있는곳 남한산성행궁(南漢山城 行宮) (0) | 2012.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