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추에 덕수궁정관헌을찾아서 정관헌(靜觀軒) 덕수궁 함년전 뒤쪽에 자리잡은 정관헌은 고종이 휴식과 연회장소로 이용되는 건물로 알려졌다. 서양식 건물에 동양식 건축방식을 혼합하여 설계된건물로 기단위에 로마네스크양식의 기둥을 둘러 내부공간을 만들었다. 나무기둥난간과 상부에는 청룡과 황룡,박쥐,꽃병 등 동양 전통문양을 넣어 장식 하였다. 대한제국 국기에는 고종과 순종의 어진을 모셨고 일제시대와광복후 찻집으로 사용 건물구조도 일부 변한다. 20171216 맑음 러시아 건축가 사바친(A.l. Sabatin)이1900년경에 고종황제 휴식용 건물로 한식과 양식을 절충해 설계한 건축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로마네스코양식의 인조석 기둥을 둘러서 내부 공간을 만들었고 밖에는 동.남.서 쪽에 기둥을 세운 베란다가 있다 석재를 사용하는 서양식 기둥이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기둥 윗부분에 청룡과황룡,박쥐,꽃병 등 우리의 전통 문양이 새겨져 있다 고종황제가 여기서 외교사절들과 연회를 즐기고 커피를 마셨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제국 국기에는 고종과 순종의 어진을 모셨고 일제시대와광복후 찻집으로 사용 건물구조도 일부 변한다. 고종황제의 휴식과 일제시대와광복후 찻집으로 사용 건물구조도 일부 변한다. 나무기둥난간과 상부에는 청룡과 황룡,박쥐,꽃병 등 동양 전통문양을 넣어 장식 하였다. 서양식 건물에 동양식 건축방식을 혼합하여 설계된건물로 기단위에 로마네스크양식의 기둥을 둘러 내부공간을 만들었다. 나무기둥난간과 상부에는 청룡과 황룡,박쥐,꽃병 등 동양 전통문양을 넣어 장식 하였다. 정관헌 담장일원에 오색단풍이 가을의 정취를 느낀다. 후문에서 바라본 정관헌 |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무문과청와대일원 만추 (0) | 2017.12.28 |
---|---|
창덕궁 벽화가있는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둘러보기 (0) | 2017.12.22 |
분청사기(粉靑沙器)2 (0) | 2017.11.17 |
분청사기(粉靑沙器) (0) | 2017.03.03 |
석류모양 주자(靑磁石榴形注子)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