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황제 의 장례식 이모저모
고종(高宗, 1852년 7월 25일 - 1919년 1월 21일) 조선의 제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광무황제(光武皇帝, 재위 1897-1907)이다. 본명은 재황(載晃). 아명은 명복(命福). 자는 성림(聖臨). 호는 주연(珠淵)
초대 조선총독 데라우치 마사다케의 지시로 친일파 대신들이 독약을 탔다는 증거가 근자에 발굴되다 홍릉은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있는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을 말한다. 고종의 릉은 조선식 왕릉과느 다른 중국황제릉의 양식을 그대로 꾸몄다. 홍릉은 명성황후가 을미사변에 시해되고 처음에는 서울 동대문 청량리에 묻혔다. 1919년 고종이 승하하자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이장 합장 하였다.
덕수궁의 정전 중화전
좌로부터 영친왕,순종,고종,순종효왕후,덕혜공주
덕홍전
함녕전
함녕전 건물은 정면 9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이며, 평면은 ㄱ자형으로 되어 있다. 그 중심이 되는 방의 평면은 경복궁의 강녕전(康寧殿)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대청을 두고, 이 좌우에 온돌방과 또 그 옆으로 누마루를 두었고, 이들 전면과 후면에는 툇마루와 온돌방을 두었다. 이러한 평면의 모양은 궁궐의 정침(正寢)이 가지는 공통된 것이다 덕수궁 함녕전은 1897년(광무 1)에 고종이 머물렀던 침전으로 세워졌으며, 1904년(광무 8)에 화재로 불타 다시 지은 건물로,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고종이 1919년 1월 22일 승하하신 곳이다. 1985년 1월 8일에 보물 제820호로 지정되었고, 덕수궁관리소에서 관리해오고 있다.
외국사신 접대용 정관헌
함녕전 어제와오늘
1933-석조전-현재
덕수궁 미술관과 석조전 앞 광장에 마련된 분수
덕수궁미술관
덕수궁 미술관은 원래는 석조전 별관이다.
분수광장을 좌우로 미술관 과 석조전에 이웃하고 있다.
광명문
광명문은 1897년건립 했으나1904년 증건된 목조건물로 중화전 동쪽에 위치한 함녕전 정문이었다.
1919년모습
함녕전의 정문 광명문1932모습 |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대산자락에 있는 월정사 (0) | 2016.02.13 |
---|---|
조선시대 궁중애서 사용하던 악기 (0) | 2016.02.04 |
종묘(宗廟)에 다녀오다 (0) | 2015.12.27 |
숭례문 정원 남지 (0) | 2015.12.12 |
역사가있는곳 창덕궁낙선재 (0) | 2015.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