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해저유물
국립중앙 박물관은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6가 168-6 에 위치한다
신한 앞바다 해저유물은 1976년 봄 조업 중이던 어선의 그물에 걸려 올라온 여러점의 중국 도자기가 인양된것이 조사되 인양하게 된다.
그 해 10-11월 1차 예비 조사에서 약 50,000점의 송 원데 도자기들이 발굴되어 본격젹인 발굴이 추진 된다.
1977년 문화공보부에 발굴조사단이 구성되고 해군 51전대 소속 함정과 해저구조유원들로 구성 지원이 결성되 인양과 해저유적에 조사가 진행된다.
매년 여름 2-4개월 발굴이 연차적으로 계속된다.
1982년부터는 유물을 실은 운송선 잔존 선체에 대한 해체인양이 병행된다.
1983년 10월에 마지막 선저의 용골이 인양함으로 8년간 9차레 발굴조사는 막을 내린다.
신안해저에서 인양되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유물들을 여기에 소개한다.
화병(원, 14세기 초반)
1977년 신안해저
꽃잎 무늬 세발 향로(원, 14세기 초반)
1977년 신안해저
청동 솥(원,14세기 초반)
1984년 신안 해저
청자 양각 꽃무늬 주전자(좌(청자 주전자(우)(원, 14세기 초반)
1977년(우)1990년(우) 신안해저
주전자(원,14세기 후반)
1980년 신안해저
주전자(원,14세기 초반)
1977년 신안해저
청자 어룡 장식 화병(원,13세기 후반)
1977년 신안해저
청자 모란무늬 향로(원,14세기 초반)
1978년 신안해저
청자 세발 향로(원, 14세기 초반
1978년 신안해저
청자 판괘 무늬 향로(원, 14세기 초반)
1976년 신안해저
청자 판괘 무늬 향로(원, 14세기 초반)
1977년 신안해저
청자 모란무늬 꽃병(원, 14세기 초반)
1976년 신안해저
청자 모란 무늬 꽃병(원, 14세기 초반)
1987년 신안해저
청자 다구병(원, 13세기 후반)
1976년 신안해저
청자 모란무늬 수반(원, 14세기 초반)
1978년 신안해저
청자 향로(원, 14세기 초반)
1979년 신안해저
청자 화분(원, 14세기 초반)
1976년 신안해저
청자 굽다리 달린 잔(원, 14세기 초반)
1978년 신안 해저
청자 긴 목병(원, 14세기 초반)
1977년 신안해저
청자 매화무늬 접시(원, 14세기 초반)
1976년 신안해저
청자 용무늬 항아리(원, 14세기 초반)
1990년 신안해저
청자 모란무늬병(14세기 초반)
1990년 신안해저
청자 술잔 모양 병)14세기 초반)
1982년 신안해저
네 귀 달린 항아리(원, 14세기 초반)
1978년 신안해저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의 불교문화(금강령과공양탑) (0) | 2014.06.20 |
---|---|
신한해저유물2 (0) | 2014.05.14 |
창덕궁 금원(연경당,의두합,애련정)가는길2 (0) | 2014.02.10 |
단풍이 곱게 물던 창덕궁 후원 부용지 일원 둘러보기 (0) | 2014.02.08 |
문화유산 창덕궁 둘러보기 (0) | 201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