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물(國寶·寶物)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국보 제225호)

노을길 2014. 1. 31. 21:36
728x90
반응형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국보 제225호)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국보 제225호)은 종로구 와룡동에

돈화문을 들어서면 북한산에서 매봉산을 거쳐 창덕궁까지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는 하나의 선상으로 궁궐이 연경되 있는것을 볼수 있다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이고 인정은 어진 정치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의 즉위식이나 문무백관의  하례식 등 국가 행사의 중요건물이다,

광해군 때 중건된 이후 순조 3년(1803) 화재로 다시 재건하였으며 철종 8년 (1857)보수공사하고 지금에 이런다.

정면 5칸,측면 4칸의 중층 팔작지붕 다포(多包)집이며 순조 때 용마루에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배꽃문양 다섯을 새겼다.

역대 왕들이 이곳에서 정무를 보았고 조선왕조의 법전으로 인정문과  회랑으로 둘러 싸여 일곽을 이룬다.

 

 

 

인정전의 넓은 마당은 조회가 있었던 뜰이란 조정이라고 부르며 상도 좌우에 늘어선 풍계석은 문무백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18품계를 세겼다.

조정의 위계질서가 문란해 정조 때 신하의 품계에 따른 비석을 세워 3품 이상을 당상관,3품 이하를 당하관이라고 한다.

인정전 마당에는 박석(薄石)을 깔았고  상하층 기단은 장대석,상화층 월대는 돌계단,돌계단 난간에는 8 마리의 석수(石獸)를 새겼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돈화문을 들어서면 북한산에서 매봉산을 거쳐 창덕궁까지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는

하나의 선상으로 궁궐이 연경되 있는것을 볼수 있다

 

 

인정전의 넓은 마당은 조회가 있었던 뜰이며 조정이라고 부른다

 

 

인정문안으로 인정전

 

 

인정전은 창덕궁의 정전이고 인정은 어진정치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의 즉위식이나 문무백관의  하례식 등 국가 행사의 중요건물이다,

 

 

인정전의 넓은 마당은 조회가 있었던 뜰이란 조정이라고 부르며

상도 좌우에 늘어선 풍계석은 문무백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18품계를 세겼다.

 

 

인정전 마당에는 박석(薄石)을 깔았고  상하층 기단은 장대석,상화층 월대는 돌계단,돌계단

난간에는 8 마리의 석수(石獸)를 새겼다

 

인정전 닫집

 

역대 왕들이 이곳에서 정무를 보던 조선왕조의 법전이디

 

 

법전으로 인정문과  회랑으로 둘러 싸여 일곽을 이룬다.

 

창덕궁 인정전(昌德宮 仁政殿,국보 제225호)은 1985년 1월8일 지정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