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역사여행 (집옥채)일원
1876년 경복궁에 큰 불이 나자 고종은 창덕궁으로 이사 다시 1888년에 다시 경복궁으로 돌아와 주로 건청궁에 기거했다.
창덕궁에 지어졌던 집옥재,협길당 등을 1891년에 건청궁 서편으로 옮겨와 자신의 서재와 외국 사신 접견소로 사용했다.
집옥재는 양 벽면을 벽돌로 쌓고 내부를 중2층으로 만들었으며 팔우정은 팔각형의 2층 정자 이다.
건물들은 중국풍의 요소를이 많이 섞여 궐내에서 이국적인 지역을 형성하며 복도를 통해 하나의 내부로 연결된것이 특징이다.
고종 30년 영국,일본 등 외국 공사들을 다섯차레 맞이하기도한 격동기의 역사가 담긴 건물이다.
집옥재,협길당,팔우정은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의 중건 때 는 없었던 건물로 고종28년 (1891)에 창덕궁에서 옮겨온 건물이다.
집옥재 팔우정과 담너머 백악산
집옥재 팔우정과 담사이 이웃 신무문이 이웃하고 있다.
팔우정 담너머가 청와대 공간이다
팔우정 기단
집옥재계단
집옥재 집무실
집옥재 내부 공간모습
집옥재 후면 모습
집옥재 후면 모습2
협길당은서재로 사용
협길당 안채모습
협길당 뒷면일원
집옥재후면과 팔우정사이 공간
집옥재와 협길당 후면공간
집옥재와 협길당 사이문
협길당
집옥재 앞 마당에서 건청궁 방향모습이다
경복궁 북문인 신무문 앞에서 바라본 집옥재 팔우정 지붕모습
집옥채뒤로 백악산
이 3채의 건물은 다른 이름을 갖고 있지만 전체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있으며 고종은 어진의 봉안장소와 서재겸 외국사신 접견 장소로 사용했다.
건청궁 일원에서 집옥채일원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역사여행(건청궁,乾淸宮) (0) | 2013.03.11 |
---|---|
경복궁역사여행(교태전 交泰殿) (0) | 2013.03.02 |
경복궁 역사여행(강녕전 康寧殿) (0) | 2013.02.24 |
경복궁역사여행(신무문과청와대) (0) | 2013.02.19 |
경복궁역사여행4(경회루(會樓 국보제224호) (0) | 201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