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호(조,종)는 이렇습니다
임금님이 승하하신뒤에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정하는 존호를 묘호라고 한다.
묘호에는 조,종, 두가지가 있는데 생전의 공적과 업적을 평가하여 정한다고 합니다.
나라를 세운 왕이나 정통이 중단된 것을 다시일으킨 왕에게는 조,를 사용했고 왕위를 정통으로 계승한 왕은 종,을 사용했다.
조선을 개국한 이성계를 태조로 칭한 것이 대표적이지고 반정을 통해 즉위하거나 재위시에 큰 국난을 치른 임금은 조,묘를 가지게 되었다.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와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 홍경래난을 치른 순조가 이에 속하고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세조도 이에 속합니다.
연산군을 몰아내고 즉위한 중종도 인종 초에 조,로 그러나 중종이 성종의 직계로 왕위를 계승하였기에 종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가 창업이나 중흥을 이룬 왕에게 붙인다는 원칙 때문에 종 보다 격이 높이 높다는것이 은년중 정설이라고합니다.
영조와정조 순조는 본래 영종과 정종 순종이었으나 고종때 영조 정조로 철종때 순조로 개정한 것입니다.
신라왕 가운데 묘호를 쓴 왕은 태종 무열왕 밖에없고 고려때는태조 왕건만 조,를 묘호를 사용 하였다.
묘호는 원래 황제만 사용할수 있다는데 조선시대에 어떻게 묘호를 쓸수 있었을까
중국은 송,요,금이 서로 각축하면서 절대패자가 없었기에 고려가 황제를 일컬을 수 있는 국제적 환경이 조성되었다.
하지만 원나라에 항북한 고려 충렬왕,충선왕이 묘호를 사용하지 못했다.
조선은 중국의 충실한 제후국임을 표방했으나 때로 중국의 협박을 받아가면서도 묘호만을 그대로 유지 했습니다
나라의 자존님을 지킬려는 마음이 은년중 작용하였다는 것임을 우리는 알수 있습니다.
종묘는 조선의 왕과 왕비는 물론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하는 사당이라고 합니다.
영녕전 정문의 모습
종묘의 건물인 영녕전에는 추존된 선왕의 부모나 복위된 왕들을 모셨다.
그리고 정실의 출생이 아닌 왕이 그 사친을 봉안하는 사당으로서 따로 궁묘를 두었다.
세계문화 유산으로 등제된 정전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608년 다시 지었고,
시대를 거치면서 여러차례의 수리를 하여 지금의 19칸의 건물이 되었다
종묘는 조선시대 단일목조건축물 중 연건평규모가 세계에서 가장 크나, 장식적이지 않고 유교의 검소함이 있는 건축물이다
정전 신위 봉안도
종묘의 건물인 정전에는 정식으로 왕위에 오른 선왕과 그 왕비의 신주를 순위에 따라 모셔놓은 곳이다.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모습찾은 광화문 (0) | 2010.08.15 |
---|---|
목조건축의 변천사 (0) | 2010.06.30 |
창경궁 홍화문 (0) | 2010.01.03 |
세계문화유산(종묘) (0) | 2009.11.14 |
조선최후의 황제 순종과 순종효왕비(유릉) (0) | 2009.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