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흉배 |
왕과·왕세자 와·문무백관의 관복의 가슴과 등에 장식한 표장(表章)을 말한다.
|
당하관은 단학(單鶴),
1871년(고종 8)에 문신 당상관은 쌍학(雙鶴)
1872(고종8년)무신 당상관은 쌍호(雙虎),
1871년(고종8년)당하는 단호(單虎)로 정하여 한말까지 사용했다고한다.
상아흘(중요민족자료제121호)
관복을 입을 때 손(홀)에 들었던 것으로 품계에 따라 구분함
상아홀 2점 중 하나는 아랫부분이 윗부분보다 약간 넓으며, 손잡이에는 남색 천을 씌웠다.
작은 것으로 아랫부분의 손잡이에 남색 천을 씌웠고 길이는 25㎝, 폭은 3.4-4.4㎝(문화제청)이다.
조바위
여성들이(조선후기)즐겨쓰던 방한모자이다
색감은 겉은 검정 비단, 안은 남색 비단이나 무명이며, 겹으로 만들었다.
꼭대기는 열려 있고, 앞이마와 귀 ·머리 전체를 덮는다.
'遺産·書畫'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국보제127,186호) (0) | 2009.07.27 |
---|---|
고려청자 매병(보물) (0) | 2009.07.09 |
고려청자(국보) (0) | 2009.07.03 |
국보급 자기류 (0) | 2009.05.16 |
동전(상평통보) (0) | 2009.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