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역사 둘러보기
조선의 정궁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건립과 함께 창건되 사용되 었으며 임진왜란때 선소 된 후 페허를 있다 조선 말기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어 일시 궁궐로 사용되었다. 북쪽에 있다하여 북궐이라고 불리었고 사적 제 117호로 지정되 었다.
광화문역을 나서면 멀리 경북궁 정문인 광화문이 이 보인다. 이른 시간이라 광장일원에는 사람과 사람들이 몹시 분비던 모습은 볼수 없다.
매주 화요일 휴무날이라 성문이 굳게 닫쳐있는 광화문
광화문을 지나 안쪽마당으로 들어서면 홍예문
홍예문이로 근정전이 나온다.
경복궁근정전(국보제 223호,勤政殿)
경복궁의 중심건물인 근정전다포양식의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이다 경복궁의 정전이자 중심이 되는 건물이고 현존하는 건축물 중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건물이며 국보 제 223호 이다. 정전으로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 하던 곳이라고 한다. 태조4년 (1395)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버려 고종4년(1867)에 대원군이 다시 지었다. 지금의 경복궁 근정전은 복원사업으로 2000년 부터 진행되온 보수공사로 현재의 모습으로 탄생했다.
경복궁의 중심건물인 근정전다포양식의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이다
경복궁의 정전이자 중심이 되는 건물이고 현존하는 건축물 중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건물이며 국보 제 223호 이다.
닫집
닫집은 본래 존귀하고 신성한 분과 그 형상에 먼지,비바람,태양빛 등이 직접닫지않게 하기 위하거나 신성하고 위엄스럽게 보일 목적으로건물 안에 설치한 작은 건물이다.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왕궁의 닫집 중앙에는 어좌,용상,옥좌라고 하는 왕이 앉는 의자가 있다..
현 서울 경복궁의 근정전,등 조선 왕궁의 정전에는 크고 화려한 닫집이 전하고 있다.
왕궁의정전 (즉위나책봉 등 가장 중요한 행사를 거행건물)왕실의사당,사찰 법당의 닫집은 더욱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
닫집을 당가,운궁,보개천장이라고도 하였다.
근정전 닫집 공간
경북궁 근정전 뒤편 밀대를 지나 내려오면 사정문이 나온다.
근정전에서 사정전으로 들어가는 사정문
사정전 사정전은 경복궁 편전으로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의 단층 팔작 지붕 건물이다. 근정전 뒤 사정문안에 있는 건물로 왕이 평상시에 거쳐하면서 졍사를 보던 전당이다.
경목궁 창건당시 (1395, 태조 4)지어졌으나 명종 때 불타 재건되고 임진왜란 때 소실 후 1867년 (고종4) 중건되었다, 2012년 3월2일에 보물 제 1759호로 지정 되었고 경복궁 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향오문은 사정전에서 강녕젼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경복궁 강녕전(康寧殿)
강녕전은 경복궁의 내전으로 왕의침전으로 사용하던 전각이며 생활공간이다. 태조 4(1395)년에 창건하고 정도전이 강녕전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걍녕은 오복의 하나로 임금으로서 이상적인 정치이념을 건축에 반영한 유가사상을 볼수 있는 대목이다.
정면 11칸 특면 5칸의 목조건물이며 4단의 기단이 놓여지고 가운데에는 월대를 설치하였다. 강녕전은 임금의 높은신분을 상징하기 의해 용마루가 없는 무량각지붕을 만들었디.
강녕전에서 교태전으로 들어가는 양의문
경복궁역사여행 (교태전 交泰殿)
태조가 조선을 건국한지 3년 후인 1394년에는 교태전이 없었으며 세종 때 지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교태전(交泰殿)은 왕비의 생활공간이며 처소로 중궁 또는 중전으로 불렀다.
전각의 규모는 정면 9칸 측면이 5칸이며 장대석 4벌로 기단을 쌓아 장방형의 전각으로 지붕에는용마루가 없다. 우측에는 원길헌이 좌측에는 함총각 동복쪽에는 건순각이 부속 건물로 이어진다. 1553년 명종 때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869년 (고종6)에 새로 창건하였다. 이후 창덕궁에 튼 화재가 일어나 내전이 불타버리자 이를 복구하기 위해 경복궁 교태전을 헐어서 재목으로 사용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990년에 경복궁 복원사업 으로 다시 중건한 것이다. |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속으로 가는 경회루(2) (0) | 2016.11.26 |
---|---|
초겨울이 머물다가는경회루 (0) | 2016.11.24 |
창덕궁낙선재(樂善齋)따라하기 (0) | 2016.11.18 |
경복궁 동십자각(東十字閣) (0) | 2016.11.14 |
대한불교 총본산조계사 에 다녀오다. (0) | 2016.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