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有花 687

섬노루귀(21)2

섬노루귀 이름 ; 노루의 귀와 비숫하여 이름이 유래. 다른이름 ; 큰노루귀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patica maxima 꽃말 ; 신뢰.믿음. 섬 노루귀는 울릉도에만 서식하고 있는 울릉도 특산으로 우리의 고유식물. 1917년 일본의 식물학자인 나카이(nakai)가 처음으로 발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20210412 맑음 줄기 ; 마디가 많고 비스듬히 사방으로 퍼지고 흰털이 많이 나오며 15~20cm 자란다. 잎 ; 뿌리에서 난 심장형잎은 사방으로 퍼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3개로 갈라진다. 꽃 ; 흰색꽃은 3~4월에 잎나오기전에 꽃대가 나와 달린다. 열매 ; 방추형 열매는 수과로 8월에 익으며 털이 없고 총포에 싸인다, 서식지 ; 산지의 습기많은곳 관상용..

山有花 2021.04.11

할미꽃(21)

할미꽃(20)2 Pulsatilla koreana 비맞은 할미꽃 이름 ; 흰털로 덮힌 열매덩어리가 할머니 하얀머리카락같아 할미꽃. 별명 ; 노고초(老姑草),주지꽃.백두공(白頭公).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할미꽃속.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Pulsatilla koreana 꽃말 ; 슬픈추억,공경. 유독식물,뿌리를 약용한다. 20210327흐림비 줄기 ; 깊은 뿌리에서 무더기로 나와 비스듬히 퍼지며 30-40cm 자란다. 잎 ; 깃꼴겹 작은 잎은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흰털이 촘촘히 나 있다. 꽃 ; 붉은자주색 종모양 꽃은 3~4월에 꽃자루 끝에서 1송이씩 밑을 향해 핀다. 열매 ; 둥근 열매는 5-6월에 수과로 익으며 암술대가 남아 있다, 서식지 ; 산지 들판,관상용. 분포지 ; 우리나라제주제외 ..

山有花 2021.03.27

큰봄까치꽃(21)

큰봄까치꽃 이름 ; 씨앗 모양이 개불알을 닮았다해 유래. 다른이름 ; 오오누부꾸리.큰개불알꽃. 분류 ; 현삼과 생장형태 ; 다년생풀. 학명 ; Veronca persica 꽃말 ; 기쁜소식. 큰개불알풀의 이름은 오오누부꾸리 란 일본어를 그대로 번역한 말이다. 꽃이름과 어울리지않아 봄까치꽃이라고 새롭게 고쳐 부르고 있다. 개불알꽃과 혼동 활수 있는데 서식처나 꽃모양이 다르다. 20210316 맑음 일찍 피는 꽃이 봄까치꽃이며 눈속 피는 복수초부다 먼저 봄을 알리는 꽃이다. 줄기 ; 밑에서 갈라져 많은 가지를 치면서 옆으로 누워가며 자라며 4-5cm 자란다. 잎 ; 세모꼴형 잎은 마주나고 어긋나며 무딘 톱니 모양이다. 꽃 ; 연보라꽃은2~3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피며 네개의 꽃잎에 밤에는 오므라든다 열매 ; 둥..

山有花 2021.03.16

구름산노루귀(21)

노루귀 Hepatlca asiatica 구름산노루귀 이름 ; 꽃줄기나 잎이날때 노루귀를 닮아서. 별명 ; 설앵초.파설초(雪割草). 분류 ; 미나리아재과노루귀속.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patlca asiatica Nakai 꽃말 ; 인내 설명 ; 군락지에서 처음본 노루귀. 남획으로 개최수가 급격히 줄어 들어 보호되어야 할 식물. 210303 맑음 줄기 ; 옆으로누워 자라며 가지많고 잔뿌리가 퍼지며 5-10cm 자란다. 잎 ; 타원형잎은 긴잎자루가 있고 3개로 갈라지며 뒷면에 솜털이 빽빽히있다. 꽃 ; 연분홍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긴 꽃대에 한송이씩 피며 꽃잎은없다. 열매 ; 털많은 열매는 수과로 6월에 익는다. 서식지 ; 산지나무밑. 계곡풀속. 분포지 ; 우리나라 전역.

山有花 2021.03.05

홍노루귀(21)2

홍노루귀(Hepatlca asiatica) 이름 ; 꽃줄기나 잎이날때 노루귀를 닮아서 유래. 다른이름 ; 설앵초.파설초(雪割草).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patlca asiatica Nakai 꽃말 ; 인내. 20210302 흐림 줄기 ; 뿌리줄기가 옆으로 마디가 많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처져나가며 5-10cm 자란다. 잎 ; 타원형 잎은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 잎은 뒷면에 솜털이 빽빽히난다. 꽃 ; 연한붉은색꽃은 3-4월에 잎먼저 긴 꽃대에 한송이씩 피며 꽃잎같은 꽃받침이 여러개 있다. 서식지 ; 산지 나무밑.계곡 풀속. 분포지 ; 우리나라 전지역.

山有花 2021.03.02

만병초(21)

만병초 이름 ; 모든 병을 낮게 해준다고 만병초라 유래 별명 ; 똑갈나무,석암엽. 분류 ; 진달래과진달래속. 생장형태 ; 상록활엽 관목. 학명 ; Rhodoendron brachycarpum 꽃말 ; 위엄,존엄. 설명 ; 모든 병을 낮게 해준다고 만병초라 불린다. 분포지 ; 울릉도,강원도,일본. 20210226맑음 줄기 ; 새가지에는 회색 털이 있지만 차츰 없어져 갈색으로 변하며 3~4m 자란다. 잎 ; 타원형잎은 어긋나고 여러개가 모여나며 짙은녹색에 주름살이 있고 뒤로 말린다. 꽃 ; 연한분홍색꽃은 5~6월에 가지끝에서 여려개가모여 달리며 꽃대에 털이 있다. 열매 ; 다원형 열매는 9월에 삭과로 맺는다. 서식지 ; 고산지대.관상용. 분포지 ; 우리나라 ,일본.

山有花 2021.02.26

복수초(21)3

복수초 (福 壽草) 봄 전령사 복수초가 얼음을 뚫고 봄소식. 이름 ; 가정의 영원한행복과 장수를 기원하는 유래. 별명 ; 어름세꽃.원일꽃.설연화.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 생장형태 ;여러해살이풀. 학명 ; Adonia amurensis 꽃말 ; 영원한 행복.슬픈추억. 복수초는 일년중 가장먼저 꽃을 피우며 장수를 기원하는 식물. 2월에 산이나 들에서 눈과 얼음을 뚫고 꽃피우는 강한 식물. 20210215 흐림 줄기 ; 곧은줄기는 위에서 갈라지고 밑잎은 줄기를싸며 10-30cm 자란다. 잎 ; 깃꼴잎은 밑부분이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두번갈라진다. 꽃 ; 노란색꽃은 2-4월에 원줄기와 가지끝에서 한송이씩 달린다. 열매 ; 등근열매는 6~7월에 수과로 꽃턱에 모여 달리며 짦은 털이있다. 서식지 ; 양지바..

山有花 2021.02.15

섬쑥국쟁이

섬쑥부쟁이 이름 ; 쑥캐는 대장쟁이 딸이름에서 유래. 다른이름 ; 주지깽이나물.구메리나물. 분류 ; 국화과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Aster glehnui 꽃말 ; 그리움.인내. 201210 흐림 줄기 ; 뿌리에서 나온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80-150cm 자란다. 잎 ; 피침형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끝은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꽃 ; 연한 자주색꽃은 9월에 줄기 끝에서 무리지어 총상꽃차레로 달린다. 서식지 ; 울릉도,산지.관상용. 울릉도 원산지. 전국.

山有花 2020.12.10

감국(甘菊)20

감국(甘菊) 이름 ; 단맛(甘味)이 조금 난다고 감국. 다른이름 ; 산국.황국. 분류 ; 국화과 생장형태 ; 여러해살이풀. 학명 ; Chrysanthemum indicum 꽃말 ; 가을의향기. 201103 약간흐림 바람 줄기 ; 식물전체에 털이 있으며 80cm 정도 자란다. 잎 ; 어굿나나고 잎가장자리가 날개깃처럼갈라진다. 꽃 ; 노란색꽃은 10-11월에 두상꽃차레로 핀다. 열매 ; 둥근 열매는 11월에 수과로 익는다. 서식지 ; 산지.관상용. 분포지 ; 우리나라,중국.일본.

山有花 2020.11.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