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遺産(遺物·遺蹟)

덕수궁돌담길 한바귀 후기 (23)

노을길 2023. 11. 18. 13:20
728x90
반응형

덕수궁 돌담길둘러보기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구(지번) 주소정동 5-1 (지번)

 

대한문

 

 정동둘레길

 

 

정동은 조선으로부터 대한제국에 이르는 역사의 원형이 남아있는 박물관이다.

근대역사 유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서울의 역사문화 명소이다.

이곳은 대한제국 고종의 도시개조사업을 통해 새로 형성된 지역이다.

양이재.영국대사관. 성공회성당.서울시의회.근.현대 서울의모습을 간직한곳이다.

3.1운동.4.19혁명.6월항쟁 등 민족의 자주독립과 민주화역사를 함께한공간이다.

 

 

문화재새으로 탄생한 세실마루

 

 

세실마루 옥상으로 오르는길은 개방되어 있다

옥상에서 덕수궁일원과 서울시청등 주변을 조망핼본다,

 

 

성공회 서을 성당일원

 

 

서울시청 일원

 

 

덕수궁 정관헌 일원

 

 

정동길이정표

 

 

영국대사관

 

 

영국대사관 쪽에서 덕수궁 가는문

 

 

덕수궁에서 러시아 공사관 가는 돌담장길

 

 

덕수궁과영국대사관 사이 돌담길

 

 

덕수궁 돌담장길 너머 영국대사관일원

 

덕수궁 있는 오래된 느티나무고목

 

 

덕수궁 돌담길

이어지는 문

 

영국대사관 구역

 

 

덕수궁 돌담장길

 

 

고종의길로 들어서는 문

 

 

구세군 서울제일교회

 

 

덕수궁  선원전 터

 

 

선원전은 역대 왕들의 어진을 모시고 제사 지내던 진전이다.

종묘가 궁궐밖에 있는 왕실의사당이라고 한다.

선원전은 궁궐안에 있는 왕실의 사당아리고 한다.

구세군 회관과  덕수초등학교 맞은편에 이치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헐린 선원전터 자리에 일본 은행 적산가옥들 모습.

 

 

일제강점기에 헐린 선원전터 자리에 일본은행 사택 적산가옥들 모습.

 

 

덕수궁 옛 사진

 

 

일제강점기에 헐린 선원전터 자리에 일본은행중역사택 적산가옥들 모습.

 

 

일제강점기에 헐린 선원전터 자리에 일본은행중역사택 적산가옥들 모습.

 

덕수궁 선원전 복원사업 현장모습

 

 

고종의길

 

덕수궁 돌담장길에서 정동공원과 러시아 공사관까지 가는 120m 길이다

1896년  아관파천 때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 피신당시 덕수궁을 오갈때 로 추정한다.

 

 

고종의길

 

 

고종의 길에서 러시아 공사관으로 가는문

 

 

러시아 공사관 복원공사

 

 

정동 공원

 

 

정동공원

 

 

정동공원

 

 

 

정동길

 

 

 

정동은 조선으로부터 대한제국에 이르는 역사의 원형이 남아있는 박물관이다.

근대역사 유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서울의 역사문화 명소이다.

이곳은 대한제국 고종의 도시개조사업을 통해 새로 형성된 지역이다.

양이재.영국대사관. 성공회성당.서울시의회.근.현대 서울의모습을 간직한곳이다.

3.1운동.4.19혁명.6월항쟁 등 민족의 자주독립과 민주화역사를 함께한공간이다.

 

 

옛 이화여고

 

사주문

 

지붕이 양옆담장보다 높게솟아있는 대문으로 이화의 옛대문이다.

1923년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면서 일본풍 양식을

1999년 대들보.망와.상도리 등 부재를재 사용해 옛모습으로 복원했다.

 

 

 

정동은 조선으로부터 대한제국에 이르는 역사의 원형이 남아있는 박물관이다.

근대역사 유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서울의 역사문화 명소이다.

 

 

근대역사 유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서울의 역사문화 명소이다.

 

 예원학교

 

 

정동길

 

옛 신아일보사옥

 

정동극장

 

 

정동제일교회

 

신아일보 사옥

 

덕수궁 현대미술관

 

 

정동로타리

 

 

옛대법원 

 

 

옛대법원입구

 

 

덕수궁 담장길

 

 

우측은 서울시 서수문별관

 

대한문

 

 

2023-11-18 추위 맑음

정동은 조선으로부터 대한제국에 이르는 역사의 원형이 남아있는 박물관이다.

근대역사 유산과  현대문화가 공존하는서울의 역사문화 명소이다.

이곳은 대한제국 고종의 도시개조사업을 통해 새로 형성된 지역이다.

양이재.영국대사관. 성공회성당.서울시의회.근.현대 서울의모습을 간직한곳이다.

3.1운동.4.19혁명.6월항쟁 등 민족의 자주독립과 민주화역사를 함께한공간이다.

728x90
반응형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초지진탐방후기(24)  (0) 2024.07.15
덕수궁일원가을(23)  (0) 2023.11.19
덕수궁돈덕전 가을(23)  (2) 2023.11.15
덕수궁 가을하늘(23)  (6) 2023.11.08
조선왕릉(서오릉5 창릉)23  (2) 202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