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신무문
북악산의 노기를 막기 위해 늘 닫아 두었다가 회맹제가 있을때만 열었다.
신무문의 현판은 이현직(李顯稷)이 썼다고 전해 내려 온다.
5.16군사 혁명으로 경비사단이 주둔해 비공개후 공개된 경복궁의 북문이다.
세종 15년인 1433년 처음세워진 경복궁 북쪽의 문이다.
신무문이라고 부르게 된것은 성종 6년(1475)이다.
신무문은 용기가 강하 다는 이유로 평소엔 잠갔다가 왕의비밀행차 등 에 개방한다.
왕이 공신들의 충성을 다짐하는 모임인 회맹제 때 이 문을 사용했다.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때 함께 건립 된 것이다.
북악산의 노기를 막기 위해 늘 닫아 두었다가 회맹제가 있을때만 열었다.
신무문의 현판은 이현직(李顯稷)이 썼다고 전해 내려 온다.
5.16군사 혁명으로 경비사단이 주둔해 비공개후 공개된 경복궁의 북문이다.
북악산의 노기를 막기 위해 늘 닫아 두었다가 회맹제가 있을때만 열었다.
신무문의 현판은 이현직(李顯稷)이 썼다고 전해 내려 온다.
5.16군사 혁명으로 경비사단이 주둔해 비공개후 공개된 경복궁의 북문이다.
세종 15년인 1433년 처음세워진 경복궁 북쪽의 문이다.
신무문이라고 부르게 된것은 성종 6년(1475)이다.
신무문은 용기가 강하 다는 이유로 평소엔 잠갔다가 왕의비밀행차 등 에 개방한다.
왕이 공신들의 충성을 다짐하는 모임인 회맹제 때 이 문을 사용했다.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때 함께 건립 된 것이다.
2023-19-24 맑음
북악산의 노기를 막기 위해 늘 닫아 두었다가 회맹제가 있을때만 열었다.
신무문의 현판은 이현직(李顯稷)이 썼다고 전해 내려 온다.
5.16군사 혁명으로 경비사단이 주둔해 비공개후 공개된 경복궁의 북문이다.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가을 (집옥재일원)23 (32) | 2023.10.29 |
---|---|
경복궁 일원 가을(사정전 일원)23 (28) | 2023.10.26 |
경복궁 가을(향원정)23 (1) | 2023.10.20 |
경복궁 가을(근정전)23) (1) | 2023.10.19 |
경복궁의가을(경회루)23 (33)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