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遺産(遺物·遺蹟)

경복궁 가을(근정전)23)

노을길 2023. 10. 19. 18:14
728x90
반응형

경복궁 정전 근정전

국보제 223호,勤政殿

 

 

 

 

 

 1395년 지은 건물은 임진왜란때 불타버리고 지금 건물은 1867년 대원군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 근정전은 중심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행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경복궁 근정전은 다포양식의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이다

경복궁 정전은 중심건물이고 현존하는 건축물 중 높은 수준의 건물이며 국보 제 223호 이다.

정전은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 하던 하던 곳이다.

태조4년 (1395)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고종4년(1867)에 다시 지었다.

경복궁 근정전은 복원사업으로 2000년 부터 진행되온 보수공사로 현재의 모습이다.

 

 

경복궁 정문 광화문

 

광화문 현판과 월대공사가 한창이다.

10월15일 복원 마치고 일반에 공개하다.

 

광화문안쪽 

 

광화문은  경복궁의 정문이고 광화문

앞 거리는 육조거리가 형성되 있다.

 

 

 

 

흥례문

흥례문은 경복궁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있는 중문이다.

정면 3 칸. 측명 2칸의 중층 목조건물이다

 

 

홍례문은 정면 3 칸. 측명 2칸의 중층 목조건물이다

 

근정문

 

경복궁 근정문은  근정전 정문이며 

1395(태조 4년) 경복궁을 창건하면서 건축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타 소실되고  고종이 증건하다

 

근정전

 

1395년 지은 건물은 임진왜란때 불타버리고

지금 건물은 1867년 대원군이 중건하였다.

 

 

조선시대 법궁인 경복궁 근정전은 중심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행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닫집과어좌 그리고 장식및 문양과일월오봉도는

절대적이고 영원한 왕,왕권,왕조를 상징한다.

 

 

왕궁의 닫집 중앙에는 어좌,용상,

옥좌라고 하는 왕이 앉는 의자가 있다.

 

 

경복궁 근정전은 다포양식의 정면 5칸(30m) 측면 5칸(21m)

중층 팔작지붕의 큰 직사각형 건물이다

경복궁 정전은 중심건물이고 현존하는 건축물 중

높은 수준의 건물이며 국보 제 223호 이다.

 

2023-10-19 흐림 비

정전은 조선시대에 임금의 즉위식이나 대례 등을 거행 하던 하던 곳이다.

태조4년 (1395)지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 고종4년(1867)에 다시 지었다.

경복궁 근정전은 복원사업으로 2000년 부터 진행되온 보수공사로 현재의 모습이다.

728x90
반응형

'文化遺産(遺物·遺蹟)'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가을(신무문일원)23  (28) 2023.10.24
경복궁 가을(향원정)23  (1) 2023.10.20
경복궁의가을(경회루)23  (33) 2023.10.17
경복궁 집옥재(22)  (0) 2022.12.05
경북궁신무문(22)  (0) 202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