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항아리,연적)
박병래 선생 기증 유물
개인소장품을 기증하여 인류의 전통과 문화 선양에 분들의고귀한 뜻이 담긴 공간입니다
박병래선생은 어려운 사람에게 널리 인술을 베푼 훌륭한 의사 입니다
우리 미술에서 역사를 되새기고자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부터 반세기 동안 우리 도자기를 수집하였다.
1974년 3월, 선생은 수집하신 도자기 362점을 정성껏 간추려 누구든지 감상할 수 있어야 한다(국립박물관기중)
기증 문화재는 대부분 18-19세기에 광주 금사리와 분원리 가마에서 만든 단정한 도자기로 청화백자가 가장 많다.
품위를 지닌 이 도자기들은 조선시대 백자의 연구와 감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명품들이다
박병래 선생 흉상
백자 쌍학무늬 연적(白磁陽刻銅彩雙鶴文硯滴)19세기 조선후기
조선 후기 문방구류의 제작이 많아지며,연적은 갖가지 형태로 만들어져 사랑방을 장식했 채웠다.
연적 하나만으로도 사랑방 주인의 취향과 안목을 이야기 할수 있었다
백자 두꺼비 모양 연적(白磁靑畵銅彩蟾形硯滴) 19세기 조선
한민족의 생활에는두꺼비 신화와 속담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로,
집을 지키는 수호신과 부귀영화를 가져오는 상징하는 지혜로운 영물이다
백자 동물무늬 필통
백자 주전자
백자 잔과 잔받침
매화,대나무,풀벌레무늬 항아리(조선)
백자 용무늬 연적
백자 용무늬 필통
백자 매화 대나무 산수무늬 항아리(조선후기)
매화,새무늬 항아리(조선)
백자 난초무늬 호리병(白磁靑畵蘭草文瓢形甁)17세기 말-18세기 전반. 보물 1058호.
1
둥근 항아리를 8모로 깎아 면을 만들고 그 위로 목이 긴 병을 얹은 모양의 호리병으로
아조 백자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모양를 갖추고 있다
구름,대나무무늬 항아리(조선후기)
백자 난초,대나무무늬병(조선 후기)
매화,풀벌레무늬 항아리(조선)
백자 물풀,물고기 무늬 접시(조선)
백자 물풀,물고기무늬접시(조선후기)
백자 연꽃,새,물고기무늬 접시(조선후기)
백자 물풀,물고기무늬 접시(조선후기)
풀벌레무늬 접시(조선후기)
백자 배꽃무늬 병(白磁靑畵梨花文甁) 19세기 조선
원통형 몸체와 둥근 어깨 그리고 좁은 주구로 연결되는 선의 흐름이 깔끔하고 절제된 병이다.
작은 원안에 배꽃을 그린 무늬를 몸체 가운데 세 곳에 배치하여 더욱 깔끔해 보인다.
배꽃무늬는 그 이전에는 예가 없었던 것으로 19세기에 새롭게 나타난다.
'文化遺産(國立博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즈베키스탄의 고대문화(선사문화) (0) | 2009.12.03 |
---|---|
베트남 사후인 문화 (0) | 2009.11.28 |
국립고궁 박물관을 찾아서 (0) | 2009.11.03 |
각국 정상들로 부터 받은 선물(박 전 대통령) (0) | 2009.11.01 |
박대통령 유품속으로 (0) | 2009.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