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미선나무꽃
우리나라 특산종 식물이다.
양지바른곳이나 암석층에서식한다
내한성이 개나리 만큼 강하다.
옛 궁궐에서 사용하던 부채이름 미선.
줄기 가지는 끝이 처지며
속이 계단모양에 1~2 m 자란다.
타원형잎은 마주나그나 2줄로갈라진다
자주색꽃은 3~4월에 잎먼저 핀다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낙엽 활엽 관목
학명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꽃말 ; 선녀.
옛날 대궐 에서 사용하던
부채이름 미선에서 유래
미선나무
별명 ; 미선나무.
분류 ;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생장형태 ; 낙엽 활엽 관목
학명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꽃말 ; 선녀.
줄기는 자주빛 가지는 끝이 처지며
속이 계단모양에 1~2 m 자란다.
타원형잎은 마주나그나2줄로
달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자주색꽃은 잎먼저 총상꽃차레로
3~4월에 개화하며
꽃부리는 꽃받침보다 길다.
영상 3월30일
타원형열매는9월에 시과로 익는다.
2025-04-01 맑음
줄기 ; 자주빛 가지는 끝이 처지며
속이 계단모양에 1~2 m 자란다.
잎 ; 타원형잎은 마주나그나
2줄로 달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 ; 자주색꽃은 잎보다먼저 총상꽃차레로
3~4월에 개화하며 꽃부리는 꽃받침보다 길다.
열매 ; 타원형열매는9월에 시과로 익는다.
서식지 ; 산지 암석층 관상수.
분포지 ; 우리나라 고유종.중부이남.
'陵樹木·生態'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릉수목원 꽃단풍(25) (0) | 2025.03.27 |
---|---|
산괴불나무꽃(25) (0) | 2025.03.17 |
수목원 앉은부채(25) (0) | 2025.03.15 |
홍릉수목원복 수초(25) (0) | 2025.03.14 |
홍릉수목원 민둥나도국수나무 (0) | 2025.01.05 |